건설기능 인력의 수급현황 및 고령화 실태
출판일 2001-03-01
연구원 심규범
- 본 연구는 현재 새벽 시장과 용역 센터 등에서 볼 수 있는 건설 기능 인력의 ''길다란 구직 행렬''과 현장에서 들려오는 ''쓸 만한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으 목소리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데에서 출발하였음.
- 건설 인력의 고령화에 기인한 인력 수급의 불일치(mismatch)가 모순적 현상의 열쇠였음.
- 건설 인력 고령화 현상의 표면적인 원인은 젊은 근로자의 진입 기피에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청년층의 외면을 자초한 건설 노동 시장의 취업 환경에 있으므로 고용 구조 및 취업 경로를 되짚어보고 수급 현황 및 고령화 실태 등을 살펴보고자 함.
- 미국의 경우 건설 기능 인력 부족이라는 위기 의식 속에서 2000년 9월에는 노동 시장에서 건설업의 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새로운 이미지 태스크 포스(Image Task Force) 를 출범시킨바 있는데, 이것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큼.
- 건설 인력의 고령화에 기인한 인력 수급의 불일치(mismatch)가 모순적 현상의 열쇠였음.
- 건설 인력 고령화 현상의 표면적인 원인은 젊은 근로자의 진입 기피에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청년층의 외면을 자초한 건설 노동 시장의 취업 환경에 있으므로 고용 구조 및 취업 경로를 되짚어보고 수급 현황 및 고령화 실태 등을 살펴보고자 함.
- 미국의 경우 건설 기능 인력 부족이라는 위기 의식 속에서 2000년 9월에는 노동 시장에서 건설업의 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새로운 이미지 태스크 포스(Image Task Force) 를 출범시킨바 있는데, 이것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