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도표로 보는 건설산업

출판일 1995-12-01

연구원 남상호

본 연구는 건설업의 일반적 내용을 정리, 수록함으로써 건설업체 및 국민에 대한 건설업의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성장성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인 건설업 매출액 증가율을 살펴보면, ''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신규업체의 급증으로 인한 매출규모의 확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 자기자본의 증가율이 90년대이후 평균 30%를 상회하는 성장 추이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건설기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살펴 보면, 단순 노동집약형 시공분야를 제외하고는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기획, 감리 및 유지 관리 분야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공사 매출액에 대한 기술개발 투자 비율은 88년에는 0.86%였으나 점차로 낮아져서 ''92년에는 0.73%로 최저치에 달하였다가 점차로 상승하여 ′94년에는0.92%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해외건설의 특징을 살펴 보면, 지난 30년간 250억불의 외화를 가득하여 경제발전에 기여하였고, 연인원 270만명의 고용창출로국민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경험 부족과 과당경쟁, 기술이나 공사관리 등 개발된 경험의 국내 이전 소홀, 선진국과의 엔지니어링,설계 등 기술격차 축소를 위한 노력의 미흡, 금융 및 외환 규제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해외건설의 지역별 수주 현황을 살펴 보면 아시아가 전체 수주의 60%를 차지하고 있는데, ′93년 이후에 와서는 그동안 감소 추세를 보여 온 중동지역의 수수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