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미국 노인주택 시장의 현황과 전망

출판일 2000-08-01

연구원 최진호

■ 미국의 노인주택시장

- 1990년 현재 미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12.6%이나 전후 베이비 붐 세대가
    65세가 되는 2011년부터 그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 2030년에는 20.2%로 크게 증대될 예정임.

- 노인 가구 비율은 노인 인구 비율보다 훨씬 높아 1991년에 노인 가구 비율은 21.8%임. 따라
   서 2010년부터는 노인 가구 비율도 급속히 높아서 노인주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임.

- 미국의 노인주택은 크게 Seniors Apartments, Congregate Seniors Housing, Assisted
   Living Residences, 그리고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됨.

- 이들 중 CCRC의 평균 세대 규모가 313세대로 가장 크고 Assisted Living이 평균 101세대
   규모로 가장 작음.

- 이들 노인주택은 약 80%가 영리 법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영리 법인 운영 비율은
   Assisted Living이 가장 높고 CCRC가 가장 낮음.

- 세대당 월 평균 임대비는 Assisted Living이 1,839달러로 가장 높고 CCRC가 1,105달러로
   가장 낮으나 이는 Assisted Living이 100% 임대비로 비용이 부과되나 CCRC에서는 입주금
   이 있기 때문임.

- 연평균 거주자 이동률은 Assisted Living이 가장 높아 53.8%에 이르고 CCRC가 가장 낮아
   21.2%를 보이고 있음.

- 각 유형별 투자 수익률은 대체로 12∼13% 수준으로서 Congregate가 13.1%로 가장 높고
    CCRC가 11.8%로 가장 낮음.

- 미국의 노인주택 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크게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그리고 심리·보건적 요인을 들 수 있음.

- 이 중 우선 인구학적 측면에서는 전후 베이비 붐 세대의 영향으로 이들이 65세가 되는 2011년
   부터 2030년까지 노인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 노인주택 시장의 급격한 양적 팽창이 전망됨.

- 사회·경제적 영향 요인으로는 결혼 관계, 소득, 그리고 신체의 기능 장애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요인들은 구체적으로 노인주택의 각 유형별 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

- 심리·보건적 요인은 노인들이 노령화를 겪으면서 경험하게 되는 생리적, 심리적 및 사회적
   변화와 관련된 것인데 이들 요인들이 노인들의 구체적인 소비 형태에 영향을 미쳐 이들 요인
   에 따라서 기존 주택 및 노인주택의 수요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측됨.

- 1999년 1년 간 약 6만 6,000세대의 노인주택이 건설되었는데 최근 3년 간 미국의 노인주택
   건설 추이를 살펴보면 매년 증가하고 있어 1997∼98년에는 11.4%, 1998∼99년에는 30.0%가
   증가하였음.

- 노인주택 유형별로는 Assisted Living이 가장 많이 공급되고 있어 매년 신규 건설 노인 주택
    의 49∼65%가 Assisted Living임.

- 지역별로는 California, Florida, Texas, North Carolina, 그리고 Illinois주에 노인주택이
   가장 많이 건설되고 있음.

- 노인주택의 평균 건설 단가는 Assisted Living을 예로 들면 단지당 약 820만 달러, 세대당
    약 11만 달러로 나타남.

- 전문 업체의 노인주택 시장 참여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는데 노인주택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는 상위 10개 업체가 소유하고 있는 총 세대 수는 1998년 현재 약 10만 5,000세대에 이르고
   있음.

- 또한, 이들의 소유 비율도 매년 증가해 1964∼66년에는 11∼14%씩 증가하였으나 1966∼67년
   에는 23.1%, 그리고 최근 1997∼98년에는 28.0%를 기록해 이들 대형 업체들의 노인 주택
   시장 참여가 매우 활발함.

- 1996년 현재 노인주택 시장 규모는 약 860억 달러로서 향후 미국의 노인주택 시장은 특히
   2010년 이후 그 규모가 급속도로 팽창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시장 규모는 2000년을
   기준으로 2010년에는 1.6배, 2020년에는 2.7배, 그리고 2030년에는 4.8배 증가해 금액으로는
   약 4,9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 따라서, 미국의 노인주택 시장은 향후 30년까지는 큰 호황을 맞이할 것으로 예상됨.


■ 한국의 노인주택 시장

- 2000년 현재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6.8%로서 이제 막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
    였으나 향후 노인 인구는 급격히 증가해 2020년에는 12.5%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남자는 33.9%, 여자는 23.5%가 노인들로만 구성된 노인가구
    에 살고 있음.

- 특히 노인 혼자 사는 1인 가구도 남자 노인은 3.4%, 여자 노인은 13.1%로서 노인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보다는 농촌에서 노인 1인 가구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음.

- 우리나라에는 미국식의 다양한 유형의 노인주택은 존재하지 않으며 다만 「노인복지법」
   에 규정된 노인 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