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ㆍ전남지역의 지역경제와 건설산업
출판일 1998-03-01
연구원 윤영선
IMF 사태의 영향 이후 국가경제는 물론 지역경제 역시 심각한 어려움을 받고 있다. 특히, 자체 산업기반이 취약한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경제의 급격한 침체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시·도단위의 지역경제와 관련해서는 단편적인 조사·분석자료를 제외하고는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등 산업부문의 기반이 취약한 지방자치단체들에 있어서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은 매우 큰 편이다. 지역 건설산업은 규모면에서나 산업연관효과 측면에서 지역내 산업생산과 고용을 유발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산업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역 건설산업 역시 IMF 체제의 영향으로 지역경제의 침체와 더불어 심각한 경영난에 부딪히고 있다. 지역 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로 보아 이러한 지역 건설산업의 침체는 지역경제의 불황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초한 실증분석으로서 광주·전남지역의 지역경제와 건설산업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지역 경제에서 지역소재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규모와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지역경제 관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분석도구가 체계적으로 개발, 적용되어 오지 못함으로써 제대로 지역경제와 산업의 실상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애로를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분석도구로서 지역간 산업연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광주·전남지역과 기타 지역간의 경제적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 건설산업의 지역경제에 대한 역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최근 IMF 체제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건설산업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SOC정책, 지방 건설산업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하려는 지역간 산업연관분석기법은 MRIO모형(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으로서 광주·전남지역과 기타지역간의 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이를 통한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특히 지역 건설산업과 지역경제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광주·전남지역 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먼저, 지역간 표작성 작업과 관련하여 <부록>에서 본 MRIO모형의 작성체계와 절차에 대해서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1995년도 광주·전남지역-기타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을 시도하였다. 작성된 지역간 표와 역행렬계수표는 각각 <부표 1>과 <부표 2>에 제시하였다. 부표에서 작성된 결과표를 기초로 먼저 Ⅱ장에서는 1995년 현재 광주·전남지역의 경제구조와 건설산업의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생산유발계수표의 작성을 통하여 광주·전남지역의 산업, 특히 건설산업이 지역내 및 지역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1999년도 광주·전남지역의 SOC투자가 지역내·외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을 수행하였고, 마지막 Ⅴ장에서 지금까지 분석결과를 토대로 광주·전남지역의 건설산업의 특성과 역할을 요약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SOC 및 건설산업 정책의 방향을 간략히 제시코자 하였다.
(비매품)
일반적으로 제조업등 산업부문의 기반이 취약한 지방자치단체들에 있어서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은 매우 큰 편이다. 지역 건설산업은 규모면에서나 산업연관효과 측면에서 지역내 산업생산과 고용을 유발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산업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역 건설산업 역시 IMF 체제의 영향으로 지역경제의 침체와 더불어 심각한 경영난에 부딪히고 있다. 지역 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로 보아 이러한 지역 건설산업의 침체는 지역경제의 불황을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초한 실증분석으로서 광주·전남지역의 지역경제와 건설산업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지역 경제에서 지역소재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규모와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지역경제 관련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분석도구가 체계적으로 개발, 적용되어 오지 못함으로써 제대로 지역경제와 산업의 실상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많은 애로를 겪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분석도구로서 지역간 산업연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광주·전남지역과 기타 지역간의 경제적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 건설산업의 지역경제에 대한 역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최근 IMF 체제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건설산업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SOC정책, 지방 건설산업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하려는 지역간 산업연관분석기법은 MRIO모형(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으로서 광주·전남지역과 기타지역간의 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이를 통한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특히 지역 건설산업과 지역경제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광주·전남지역 건설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먼저, 지역간 표작성 작업과 관련하여 <부록>에서 본 MRIO모형의 작성체계와 절차에 대해서 소개하고 이를 통하여 1995년도 광주·전남지역-기타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을 시도하였다. 작성된 지역간 표와 역행렬계수표는 각각 <부표 1>과 <부표 2>에 제시하였다. 부표에서 작성된 결과표를 기초로 먼저 Ⅱ장에서는 1995년 현재 광주·전남지역의 경제구조와 건설산업의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생산유발계수표의 작성을 통하여 광주·전남지역의 산업, 특히 건설산업이 지역내 및 지역외 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1999년도 광주·전남지역의 SOC투자가 지역내·외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을 수행하였고, 마지막 Ⅴ장에서 지금까지 분석결과를 토대로 광주·전남지역의 건설산업의 특성과 역할을 요약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SOC 및 건설산업 정책의 방향을 간략히 제시코자 하였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