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할인점 사업의 성장에 따른 건설수요전망과 건설기업의 대응전략

출판일 1998-08-01

연구원 윤영선

최근 할인점을 운영하는 유통업체간의 가격경쟁이 신문지상에 자주 거론되고 있다.  그것도 국내 할인업태의 선두주자인 E-mart와 세계 최대 할인유통업체인 미국의 Wal-mart의 경쟁이어서 더욱 세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유통시장은 가히 국적을 불문한 유통업체간의 치열한 경쟁의 장이 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의 최첨단에 가격 경쟁을 무기로 시장을 점유하려는 할인업태가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 유통산업 부문에 있어서 시장경쟁은 할인업태를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IMF사태의 영향으로 건설수요가 급격하게 감퇴되고 있는 건설업계는 이러한 유통산업 부문의 경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건설수요는 거의 모든 부문에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경기침체에 따른 민간 건설경기의 위축은 심각한 상황이다.  ''98년 상반기 민간 건설수주는 전년동기 대비 37% 가까이 줄어들었다.  특히, 유통부문의 경기상황을 반영하는 상업용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은 전년동기 대비 50% 가까이나 줄어들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IMF상황의 영향이 단기간에 사라지지 않을 것이고, 건설경기의 침체 역시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기업들은 향후 새로운 건설수요의 변화가 어느부문에서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대하여 더욱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

유통부문에 있어서 가격경쟁의 전개 양상은 새로운 건설수요의 창출 가능성을 보여준다.  기존의 업태 양식이 경쟁력을 상실하여 퇴출하고 새로운 경쟁력있는 업태가 시장을 점유하려 하고 있고, 거기에는 필연적으로 신규 건설수요가 동반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할인업태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유통부문의 경쟁 또는 시장점유 상황이 건설수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순한 물량규모의 예측에 국한하지 않고 새로이 전개되는 할인업태의 건설수요가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을 갖고 있고, 어떤 요구를 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건설업체에게 보다 구체적인 전략수립의 정보와 판단기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할인업태에 기 진출하였거나 또는 진출할 의사를 갖고 있는 유통업체의 건설수요는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산업의 정의를 도 소매업에 국한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유통산업을 광의로 정의하면 재화 또는 서비스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 개입하는 모든 산업 즉, 상적유통, 물적유통, 정보유통 및 지원산업까지를 포함하여 지칭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상적유통과 물적유통의 일부를 담당하는 도매업과 소매업을 지칭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통산업에 관한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관련 업계 종사자들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외국업체 3개를 포함하여 모두 30개 업체가 할인업태 부문에 진출해 있는데, 이 가운데 28%에 해당되는 8개 업체의 관계자를 면담 조사하였다.  이 밖에도 유통부문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기관 관계자 3명의 전문가 의견도 조사하였다.  이하 본 연구 내용에서 구체적 자료 명시가 되지 않는 부문은 면담결과를 참고로 하여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제시하면, 먼저 Ⅱ장에서 할인점 사업의 성장추이와 전망에 대하여 개관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부분인 Ⅲ장에서는 할인업태의 성장 전망을 토대로 향후 할인점 건설투자 수요의 규모를 추정하여 건설업계에게 어느 정도의 시장 규모가 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노력하였다.  이어 Ⅳ장에서는 이러한 건설수요 예측결과와 연계하여 구체적으로 할인점 업체가 요구하는 건설 또는 개발 수요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한 건설업체의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부록 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유통부문 전반에 대한 관련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부록 Ⅰ>에서는 개발사업자로서 건설업체의 유통산업 참여방식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부록 Ⅱ>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유통산업의 현황과 특성에 대하여 개관하였다.  그리고 <부록 Ⅲ>에서는 현행 유통산업의 발전 추이와 환경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어 <부록 Ⅳ>에서는 유통산업의 시장개방과 외국의 국내유통산업 투자현황에 대해서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