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MS 개념의 이해와 활용방안
출판일 1999-04-01
연구원 이영환
프로젝트 성과 측정의 가장 대표적인 기준은 비용, 일정, 그리고 품질이다. 이러한 기준 중에서 특히 비용과 일정은 객관적 평가가 가능하며, 또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비용과 일정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의 성격에 의해 다르게 적용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공공 건설사업에서의 비용, 일정, 그리고 품질관리는 일반적으로 ''결과 중심적인 관리 행태에 의존하고 있음과 공사 중 투명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비용과 일정의 증가, 부실시공, 문제점의 조기발견과 대책 수립의 어려움, 그리고 시공자, 감독자, 설계자 사이의 책임소재 불명확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민간공사에서도 체계적 비용과 일정 관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지난 수십년동안 선진국에서 사용되어 오던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s(EVMS)의 활용이 최근 들어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검토되고 있다. 더욱이, 향후 공공사업에서 EVMS 적용을 제도화하려는 계획이 최근에 발표되었으며, 민간공사에서도 내부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적용 계획이 구체화되어 가고 있다.
EVMS 연구는 최근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영국, 스웨덴,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도 계속 확산되고 있으며, 국가간 연대를 통한 공동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EVMS를 산업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ISO를 통하여 논의되고 있다.
EVMS의 효율성은 그 관리기법의 특성에도 있지만, 이를 시스템화하여 집행하는 과정에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고의 목적은 EVMS 개념의 이해와 더불어 이의 현장활용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선 EVMS 개념의 정의와 기법의 기본적 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외 현장에서의 활용 사례와 교훈을 분석한 후, 마지막으로 국내에서의 EVMS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조건을 고찰하였다.
(비매품)
그러나, 현재 국내 공공 건설사업에서의 비용, 일정, 그리고 품질관리는 일반적으로 ''결과 중심적인 관리 행태에 의존하고 있음과 공사 중 투명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하여, 비용과 일정의 증가, 부실시공, 문제점의 조기발견과 대책 수립의 어려움, 그리고 시공자, 감독자, 설계자 사이의 책임소재 불명확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민간공사에서도 체계적 비용과 일정 관리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지난 수십년동안 선진국에서 사용되어 오던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s(EVMS)의 활용이 최근 들어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검토되고 있다. 더욱이, 향후 공공사업에서 EVMS 적용을 제도화하려는 계획이 최근에 발표되었으며, 민간공사에서도 내부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적용 계획이 구체화되어 가고 있다.
EVMS 연구는 최근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영국, 스웨덴,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도 계속 확산되고 있으며, 국가간 연대를 통한 공동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EVMS를 산업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이 ISO를 통하여 논의되고 있다.
EVMS의 효율성은 그 관리기법의 특성에도 있지만, 이를 시스템화하여 집행하는 과정에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고의 목적은 EVMS 개념의 이해와 더불어 이의 현장활용을 위한 주요 고려사항을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선 EVMS 개념의 정의와 기법의 기본적 내용을 소개하고, 국내외 현장에서의 활용 사례와 교훈을 분석한 후, 마지막으로 국내에서의 EVMS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조건을 고찰하였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