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의 LCC분석기법 및 적용방안
출판일 1999-04-01
연구원 이의섭, 최민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LCC(Life Cycle Cost)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건설산업에서도 LCC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건설부문의 LCC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개념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여서, LCC의 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선진국에서 LCC분석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천연자원의 고갈 및 설비기기의 고도화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노동력·기자재 등의 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LCC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LCC분석 모델이 개발된 것은 무엇보다도 에너지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그 동안 건축물 및 시설구조물의 설계를 담당하는 건축가와 엔지니어들이 자원 및 에너지 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에너지 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나아가 자원 절약과 연계되어 시설물의 개·증축 혹은 재개발·재건축 등이 많은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설계자와 엔지니어들은 자원 및 에너지를 절약하고, 건축물 및 시설구조물의 가치와 수명, 그리고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더욱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건설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초기 투자액, 에너지 소비량, 유지관리비용, 개체·폐기비용 등의 제 비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 즉, 라이프사이클코스트를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분야에서도 라이프사이클에서의 환경부하를 평가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PLCA(Product Life Cycle Assessment), LCGL(Life Cycle Global Load) 등과 같은 환경오염 평가지표가 제안되고 있으며, 또한, 체화에너지(embodied energy)의 개념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생산 환경의 변화를 감안할 때, 건설산업 부문에서도 LCC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에서 LCC의 개념 및 실체를 명확히 파악하고, LCC분석의 이론적 체계 및 방법론을 고찰하는 한편, 설계 등 용역 및 건설공사 계약에 있어서 LCC를 고려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진국에서 LCC분석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는 천연자원의 고갈 및 설비기기의 고도화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노동력·기자재 등의 제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LCC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다양한 LCC분석 모델이 개발된 것은 무엇보다도 에너지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그 동안 건축물 및 시설구조물의 설계를 담당하는 건축가와 엔지니어들이 자원 및 에너지 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에너지 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나아가 자원 절약과 연계되어 시설물의 개·증축 혹은 재개발·재건축 등이 많은 제약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앞으로 설계자와 엔지니어들은 자원 및 에너지를 절약하고, 건축물 및 시설구조물의 가치와 수명, 그리고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더욱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건설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초기 투자액, 에너지 소비량, 유지관리비용, 개체·폐기비용 등의 제 비용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 즉, 라이프사이클코스트를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분야에서도 라이프사이클에서의 환경부하를 평가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PLCA(Product Life Cycle Assessment), LCGL(Life Cycle Global Load) 등과 같은 환경오염 평가지표가 제안되고 있으며, 또한, 체화에너지(embodied energy)의 개념도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건설생산 환경의 변화를 감안할 때, 건설산업 부문에서도 LCC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에서 LCC의 개념 및 실체를 명확히 파악하고, LCC분석의 이론적 체계 및 방법론을 고찰하는 한편, 설계 등 용역 및 건설공사 계약에 있어서 LCC를 고려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