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업체의 핵심경쟁력 요소파악과 경쟁력 진단

출판일 1998-07-01

연구원 김민형

Ⅰ. 서    론

- 지금까지 근 50여년 간 우리 건설업체들은 제도적인 보호막과 경쟁을 제한하는 관행 속에서
  비교적 예측가능하고 안정된 환경 하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해 왔음. 그러나 국내 건설시장의
  개방과 97년말 IMF 구제금융의 도입으로 기존의 보호막은 상실되었으며, 경쟁회피 관행 역시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을 것임.  

- 따라서 우리 건설업체들은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생존하고 나아가 성장/발전하기 위해 새로
  운 건설경영의 패러다임을 정립시켜야 할 것임. 이러한 새로운 전략방향의 설정을 위해서는
  먼저 자사의 경쟁력 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전제되어야 함.

- 본 연구는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우리나라 건설업체의 경쟁력을 계량적으로 진단함을 목적
  으로 함.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연구와 업계 면담을 거쳐 건설업체의 주요 경쟁력 요소를 체계
  적으로 도출하고 둘째, IMF이전, IMF시기 및 IMF이후의 환경변화에 따른 각 요소들의 중요도
  를 평가한 후 셋째, 주요 경쟁력 요소의 시기별 중요도를 반영하여 우리나라 선도 건설업체들
  의 상대적인 경쟁력을 계량적으로 진단함.


Ⅱ. 건설업체의 주요 경쟁력 요소


- 건설업체의 주요 경쟁력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건설기업의 경쟁력 요소들에 대한 기존 연
  구들과 선진 건설업체의 경쟁우위 요소들을 살펴봄.

- 미국(Bett & Ofori, 1992; Paek & Kim, 1993; Warszawski, 1996), 일본(溝上辛伸, 1991; 일본
  엔지니어링 진흥협회, 1996) 및 우리나라 건설업체(신종현, 1992; 성창섭 외, 1994; 포스코경영
  연구소, 산업연구원, 1995; 김민형·주은형, 1996; 김민형, 1997; 손종원, 1997; 최명환, 1998)를
  대상으로 한 건설업체의 경쟁력 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 나타난 건설업체의 경쟁력 요소들
  은 다음과 같음.

건설업체의 본원적인 활동과 관련된 요소: 영업/마케팅능력, 공사수행능력 또는 기술력, 조달능력, 인력, 및 금융력 최근 건설환경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부상하는 요소: 클레임 대처능력 등과 같은 리스크 관리능력 전략 요소: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 한편, 97년 ENR지가 선정한 세계 225대 건설업체들 중 시공중심 업체 2개사(Shimizu
  Kajima), 엔지니어링 전문 업체 2개사(Chiyoda, JGC), 그리고 플랜트 엔지니어링 중심 업체
  3개사(하수폐기물 분야: Parsons, 원자력발전소 분야: Black & Veatch, 화학플랜트 분야:
  Kvaerner)의 경쟁우위 요소에 대한 검토 결과 전략기획능력, 우수한 인재확보 및 인력개발 시
  스템 활용, 다양한 마케팅 능력, 뛰어난 시공능력, 그리고 정보기술력의 확보 등이 주요 경쟁
  력 요소들로 나타남.

- 건설업체의 경쟁력 요소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선진 건설업체들의 경쟁우위 요소에 대한 사전
  적 검토, 그리고 업계 면담을 통한 검증을 거쳐 다음과 같은 일곱가지 주요 경쟁력 요소를 최
  종적으로 도출함.

건설업체의 부가가치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본원적 기능과 관련된 요소: ① 영업/마케팅 능력, ② 공사수행능력(기술력, technology) 및 ③ 구매/조달 능력 향후 환경변화에 따라 본원적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원기능과 관련된 요소: ④ 금융 및 리스크 부담능력(financing/risk taking capabilties), ⑤ 리스크 관리 능력 제한된 자원을 기업 목적에 따라 상기에 제시된 여러가지 기능에 분배하는 조정기능과 관련된 요소: ⑥ 전략능력 ⑦ 최고경영자 능력(leadership)  

- 상기와 같은 일곱가지 주요 경쟁력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지표는 성과지표
  (performance indicators)뿐아니라 잠재적인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잠재능력 지표
  (potential indicators)를 동시에 고려함.


Ⅲ. 주요 경쟁력 요소의 중요도 평가와 변화전망


- 제 Ⅱ 장에서 선정된 주요 경쟁력 요소들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집단의사결정 방법중의
  하나인 계층적 분석과정 또는 계층적 의사결정 과정 (AHP: Analytic Hierachy Process, 이
  하 AHP)을 적용함.

  AHP는 각각의 평가기준들을 계층구조로 재구성한 후 해당 상위기준들에 대한 하위기준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쌍비교(pairwise comparision)를 통해 측정하는 방법임.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진단을 위해 앞서 선정된 주요 경쟁력 요소를 주기준, 부기준(측정항목) 및 부부기준(측정지표)의 3단계로 구성한 후 각 항목들에 대한 동일 계층내의 가중치 및 상위계층의 가중치를 반영한 정규화 가중치를 산출함.  

- AHP 수행 결과 나타난 주요 경쟁력 요소(주기준) 및 측정항목(부기준)의 IMF이전(과거), IMF
  시기(현재) 및 IMF이후(미래)의 중요도 평가 결과는 다음<표1>과 같음.

- 또한, 주요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