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공공의 적극 주도하에 성공 가능
작성일 2014-12-05
작성자 이승우 연구위원
- 도시재생 활성화는 건설시장 환경에 큰 변화 초래
- 공공 주도, 소규모, 점진적 개량, 사회경제적 계획 등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과거와 다른 역할 요구
- 도시재생 패러다임에서도 재개발, 재건축의 역할과 효용성은 지속
- 공공의 투자 재원 마련과 민간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가 필요
- 장기적으로는 도시재생을 위한 다양한 개발사업의 공익적 가치 인정 필요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은 최근「건설산업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의 이슈와 과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도시재생사업은 공공의 적극적 주도 및 여건 조성을 통해 민간이 활발히 참여할 때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이승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도시정비는 대부분 민간의 사업성에 기반한 단기적 사업 위주로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구조에서 건설산업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도시재생사업은 공공 주도, 소규모, 점진적 개량, 사회경제적 계획 등의 핵심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 공공 주도, 소규모, 점진적 개량, 사회경제적 계획 등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과거와 다른 역할 요구
- 도시재생 패러다임에서도 재개발, 재건축의 역할과 효용성은 지속
- 공공의 투자 재원 마련과 민간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가 필요
- 장기적으로는 도시재생을 위한 다양한 개발사업의 공익적 가치 인정 필요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은 최근「건설산업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의 이슈와 과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도시재생사업은 공공의 적극적 주도 및 여건 조성을 통해 민간이 활발히 참여할 때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이승우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도시정비는 대부분 민간의 사업성에 기반한 단기적 사업 위주로 진행되어 왔고, 이러한 구조에서 건설산업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도시재생사업은 공공 주도, 소규모, 점진적 개량, 사회경제적 계획 등의 핵심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