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CBSI 전월비 2.8p 하락한 86.7
작성일 2016-01-04
작성자 이홍일, 이승우, 박철한
2개월 연속 하락세, 6개월 내 최저 수준
- 계절적 상승 요인에도 불구, 주택경기 상승세 둔화 영향으로 하락
- 대형업체 : 12월에는 전월비 7.7p 상승한 100.0, 1개월 만에 기준선(100.0) 회복
- 중견업체 : 전월비 9.1p 하락한 93.8, 3개월 만에 다시 기준선 아래로 하락
- 중소업체 : 전월비 8.1p 하락한 63.0, 가장 낮은 체감경기 수준
- 서울업체 : 전월비 0.8p 상승한 99.0, 비교적 양호
- 지방업체 : 전월비 9.7p 하락한 66.2, 체감경기 크게 악화
- 1월 전망치 12월 실적치 대비 8.6p 낮은 78.1, 계절적 요인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 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015년 1월 4일 “2015년 12월 CBSI가 전월비 2.8p 하락한 86.7로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택경기 호조세가 하반기 들어 공급과잉, 금융정책 기조 변화, 시중금리 인상 등에 의해 둔화 가능성이 커져서 계절적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결국 2.8p 하락함으로써 이례적인 현상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 이홍일 연구위원은 “실제로 12월 신규 공사수주 지수를 살펴보면, 토목공종 지수가 소폭 개선된 반면, 건축공종 지수는 악화되었는데, 특히 주택 지수가 크게 악화돼 최근의 주택경기 둔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 계절적 상승 요인에도 불구, 주택경기 상승세 둔화 영향으로 하락
- 대형업체 : 12월에는 전월비 7.7p 상승한 100.0, 1개월 만에 기준선(100.0) 회복
- 중견업체 : 전월비 9.1p 하락한 93.8, 3개월 만에 다시 기준선 아래로 하락
- 중소업체 : 전월비 8.1p 하락한 63.0, 가장 낮은 체감경기 수준
- 서울업체 : 전월비 0.8p 상승한 99.0, 비교적 양호
- 지방업체 : 전월비 9.7p 하락한 66.2, 체감경기 크게 악화
- 1월 전망치 12월 실적치 대비 8.6p 낮은 78.1, 계절적 요인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 커
□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상호)은 2015년 1월 4일 “2015년 12월 CBSI가 전월비 2.8p 하락한 86.7로 집계되었다”고 발표했다.
□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주택경기 호조세가 하반기 들어 공급과잉, 금융정책 기조 변화, 시중금리 인상 등에 의해 둔화 가능성이 커져서 계절적 상승 요인에도 불구하고 결국 2.8p 하락함으로써 이례적인 현상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 이홍일 연구위원은 “실제로 12월 신규 공사수주 지수를 살펴보면, 토목공종 지수가 소폭 개선된 반면, 건축공종 지수는 악화되었는데, 특히 주택 지수가 크게 악화돼 최근의 주택경기 둔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