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주택 매매가격 하락, 서울 對 외곽지역 양극화 심화
작성일 2016-11-03
작성자 이홍일, 허윤경
2017년 주택 매매가격 하락, 서울 對 외곽지역 양극화 심화
국내 건설수주 13.6% 감소,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 하락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7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전망
- 전국 매매가격 : 금리 인상, 입주물량 증가로 0.8% 하락
․ 수도권 : 서울 對 외곽지역 간 양극화 심화, 가격 보합세
․ 지 방 : 광역시 제외한 기타지방 중심으로 1.5% 하락, 하락세 뚜렷
- 전국 전세가격 : 입주물량 증가로 1.0% 하락, 월세 전환 속도 늦추며 안정세 국면
- 입주물량 : 전국적으로 대폭 증가 ▷수도권 41.3%, ▷광역시 12.9%, ▷기타지방 30.0%
- 분양시장 : 정책적 규제 강화로 점진적 냉각 가능성 커, 전년비 15% 감소한 38만호
- 인 허 가 : 공급부담 증가로 지방도 감소세 전환, 전년비 15% 감소한 55만호
- 강남4구 인근 재건축사업 지속, 투자 리스크 작은 서울 내 주요 시장은 수요 지속
- 2017년 국내 건설수주 13.6% 감소한 127조원, 건설수주 하락세 2~3년 지속
-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적 하락세 시작
- 건설투자 2017년 하반기 이후 후퇴기 진입, 국가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커
- 국내경제 저성장 고착화 우려, 신규 공공사업 확대로 건설경기 불황 완충해야
□ 내년도 전국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모두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적 하락세가 시작됨에 따라 2017년 국내 건설수주도 전년비 13.6% 감소한 127조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국내 건설수주 13.6% 감소,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 하락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17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전망
- 전국 매매가격 : 금리 인상, 입주물량 증가로 0.8% 하락
․ 수도권 : 서울 對 외곽지역 간 양극화 심화, 가격 보합세
․ 지 방 : 광역시 제외한 기타지방 중심으로 1.5% 하락, 하락세 뚜렷
- 전국 전세가격 : 입주물량 증가로 1.0% 하락, 월세 전환 속도 늦추며 안정세 국면
- 입주물량 : 전국적으로 대폭 증가 ▷수도권 41.3%, ▷광역시 12.9%, ▷기타지방 30.0%
- 분양시장 : 정책적 규제 강화로 점진적 냉각 가능성 커, 전년비 15% 감소한 38만호
- 인 허 가 : 공급부담 증가로 지방도 감소세 전환, 전년비 15% 감소한 55만호
- 강남4구 인근 재건축사업 지속, 투자 리스크 작은 서울 내 주요 시장은 수요 지속
- 2017년 국내 건설수주 13.6% 감소한 127조원, 건설수주 하락세 2~3년 지속
-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적 하락세 시작
- 건설투자 2017년 하반기 이후 후퇴기 진입, 국가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 가능성 커
- 국내경제 저성장 고착화 우려, 신규 공공사업 확대로 건설경기 불황 완충해야
□ 내년도 전국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모두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 민간 주택수주 중심으로 본격적 하락세가 시작됨에 따라 2017년 국내 건설수주도 전년비 13.6% 감소한 127조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