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이미지 및 취업환경 인식조사
출판일 1995-12-01
연구원 이의섭,
본 연구는 일반국민들과 건설업체 종사자들의 건설업에 대한 이미지를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건설업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건설업과 제조업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국민경제 기여도, 사회적 공헌도,장래성, 종사자 호감도 및 도덕성 중 국민경제 기여도, 사회적 공헌도 및 종사자 호감도는 제조업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장래성과 도덕성에서는 제조업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덕성은 제조업과 건설업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건설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매력도,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를 측정한 걸과 건설업 매력도에 대한 종사자 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는데, 과반수이상이 건설업에 종사하는 것을 매력적이라고 평가하였다. 건설업이 매력적인 가장 큰 이유는 창조하는 즐거움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장래성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대국민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전략으로는 단기적으로 ‘국가경제기여도가 높은 산업’,‘창조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산업’,‘건설업의 장래성’ 등에 초점을 맞춘 홍보전략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기업 체질 개선을 통하여 건설업의 비호의적인 이미지를 호의적인 이미지로 변경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건설업과 제조업의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국민경제 기여도, 사회적 공헌도,장래성, 종사자 호감도 및 도덕성 중 국민경제 기여도, 사회적 공헌도 및 종사자 호감도는 제조업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나,장래성과 도덕성에서는 제조업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덕성은 제조업과 건설업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건설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매력도,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를 측정한 걸과 건설업 매력도에 대한 종사자 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는데, 과반수이상이 건설업에 종사하는 것을 매력적이라고 평가하였다. 건설업이 매력적인 가장 큰 이유는 창조하는 즐거움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장래성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대국민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전략으로는 단기적으로 ‘국가경제기여도가 높은 산업’,‘창조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산업’,‘건설업의 장래성’ 등에 초점을 맞춘 홍보전략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기업 체질 개선을 통하여 건설업의 비호의적인 이미지를 호의적인 이미지로 변경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