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화가 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전략
출판일 1995-12-01
연구원 이상호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정립하고, 지방화가 건설업계에 미치는 영향과 한계를 분석하며, 건설업계를 그 이해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분류하여 각 건설업체별로 세분화된 대응전략을 마련함과 아울러 건설업계 공동의 대응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지방화시대 건설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산업의 지방화는 세계화의 맥락속에서 추진되어야 하며,「상호이익(mutual
interests)의 추구」를 기본논리로 해야 한다. 공정한 규칙에 입각하여 상호이익을 추구하
는 대·중소건설업체간 수평적 제휴관계의 활성화는 지방건설산업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건설시장의 세계화에 대비한 전략으로서도 중요하다.
둘째, 건설시장의 지역적 분산과 지방건설산업 활성화를 핵심적인 내용으로하는 건설산업의 지
방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방기업의 입지상 불리한 여건개선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지
방에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금융·정보 등에서의 격
차를 줄여나가야 하며, 기술인력의 지방정착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건설산업의
세계화·지방화는 경쟁의 격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개별 건설업체든 건설업계 전체이든 경
쟁력 강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금융·정보·기술이 가장 중요한 경쟁
력 강화요소로 꼽히는 만큼,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건설업계-관련연구기관 등의 연계
를 통하여 이들 요소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지역건설정
보센터」를 설립하여「지역건설정보체계(RCIS:Reg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를 구축하고 건설업체들의 이용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 지방업체의 정보격차
를 해소시켜 주기 위해서든, 건설시장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든 국토계획, 도시 및 지역
개발, 지역경제전반에 관한 정보와 아울러 지역건설행정과 정책에 관한 정보, 지역별 발
주공사정보, 입·낙찰정보, 신기술·공법·자재정보, 지역별 건설기술 및 기능인력고용에 관
한 정보, 지역별 건설산업 투자정보 등을 포괄하는 「지역건설정보체계」의 구축이 필요
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산업의 지방화는 세계화의 맥락속에서 추진되어야 하며,「상호이익(mutual
interests)의 추구」를 기본논리로 해야 한다. 공정한 규칙에 입각하여 상호이익을 추구하
는 대·중소건설업체간 수평적 제휴관계의 활성화는 지방건설산업의 활성화 뿐만 아니라
건설시장의 세계화에 대비한 전략으로서도 중요하다.
둘째, 건설시장의 지역적 분산과 지방건설산업 활성화를 핵심적인 내용으로하는 건설산업의 지
방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방기업의 입지상 불리한 여건개선과 더불어 적극적으로 지
방에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금융·정보 등에서의 격
차를 줄여나가야 하며, 기술인력의 지방정착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건설산업의
세계화·지방화는 경쟁의 격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개별 건설업체든 건설업계 전체이든 경
쟁력 강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금융·정보·기술이 가장 중요한 경쟁
력 강화요소로 꼽히는 만큼,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건설업계-관련연구기관 등의 연계
를 통하여 이들 요소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지역건설정
보센터」를 설립하여「지역건설정보체계(RCIS:Regional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를 구축하고 건설업체들의 이용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 지방업체의 정보격차
를 해소시켜 주기 위해서든, 건설시장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든 국토계획, 도시 및 지역
개발, 지역경제전반에 관한 정보와 아울러 지역건설행정과 정책에 관한 정보, 지역별 발
주공사정보, 입·낙찰정보, 신기술·공법·자재정보, 지역별 건설기술 및 기능인력고용에 관
한 정보, 지역별 건설산업 투자정보 등을 포괄하는 「지역건설정보체계」의 구축이 필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