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의 lS0 9000 안내서
출판일 1996-11-01
연구원 이규일
건설업의 발전은 건설 환경 내에서 어떻게 혁신적인 경영 활동을 하는가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ISO 9000 품질 시스템의 도입은 건설업의 발전과 도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품질보증의 시스템적 접근을 통한 사전 예방 감시활동에 역점을 둔 ISO 9000 품질 시스템을 건설업의 특성에 맞도록 내용을 구성하고 건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건설업의 품질보증 체제에 대한 이해와 수립 및 운영기틀의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건설업은 제조업과 달리 현장이라는 프로젝트별 품질보증 체제를 운영해야하며, 발주자, 건설사, 하도급 업체, 자재 공급자, 설계자, 감리자가 총체적으로 품질 시스템을 운영해야 그 효과를 더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건설업의 품질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실질적 역할을 인지해야 하며,건설업의 품질 시스템 개선과 유지에 도움을 줄 심사를 선택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계속되는 사후 관리 동안 심사를 받아야 할 인증 기관과 심사원의역할을 생각하여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ISO 9000 인증서 획득보다는 건설업의 특성을 고려한 현실적으로 지킬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ISO 9000 인증의 취득은 더 이상 회사의 목표나 자랑거리가 될 수 없다.ISO 9000 인증취득은 기업의 기본적인 사항이며 사회의 당연한 요구 사항이다. 품질 보증 체제는 미리 만들어져 있는 기법이나 방법이 아니라, 기업 스스로가 알맞은 품질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행하며, 개선하여 고객의 만족을 추구하는 경영 시스템임을 이해하고 진정한 건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축해야 한다.
(비매품)
건설업은 제조업과 달리 현장이라는 프로젝트별 품질보증 체제를 운영해야하며, 발주자, 건설사, 하도급 업체, 자재 공급자, 설계자, 감리자가 총체적으로 품질 시스템을 운영해야 그 효과를 더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건설업의 품질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실질적 역할을 인지해야 하며,건설업의 품질 시스템 개선과 유지에 도움을 줄 심사를 선택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계속되는 사후 관리 동안 심사를 받아야 할 인증 기관과 심사원의역할을 생각하여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ISO 9000 인증서 획득보다는 건설업의 특성을 고려한 현실적으로 지킬 수 있는 운영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ISO 9000 인증의 취득은 더 이상 회사의 목표나 자랑거리가 될 수 없다.ISO 9000 인증취득은 기업의 기본적인 사항이며 사회의 당연한 요구 사항이다. 품질 보증 체제는 미리 만들어져 있는 기법이나 방법이 아니라, 기업 스스로가 알맞은 품질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행하며, 개선하여 고객의 만족을 추구하는 경영 시스템임을 이해하고 진정한 건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축해야 한다.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