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연구보고서

건설사업관리(CM)제도의 파급효과

출판일 2002-04-01

연구원 이복남외4

I. 서론

○ 1990년대에 들어 국내에서도 다양한 발주방식의 전개, 여러 관련법 제정, 구체적인 지침들
    의 설정 등과 함께 CM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

○ CM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큰 동시에, 이의 현장활용에 따른 파급효과에 대한 의문도 큰 것
    이 사실임. 대표적인 원인으로서는 발주자의 인식부족·법제도의 미비·기술력의 부족·국내 건
    설산업의 여건 등이 지적되고 있음. 특히, 발주자의 인식부족에서는 CM의 기대효과를 가시
    적으로 보여주는 설득력 있는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 부각됨.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CM적용 방법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사례조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CM의 파급효과가 국내 건설산업의 업무 영역과 기술발전
    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고찰함.


II. 건설사업관리(CM)의 형태와 역할

○ CM의 정의 중 공통적이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1) 건설사업 생애주기인 계획, 설계, 시
    공단계의 통합관리와 2) 발주자의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역할을 맡는다는 점임.

○ CM 계약형태는 일반적으로 CM-for-Fee방식과 CM-at-Risk방식으로 구별되며, CM-for-
    Fee방식은 사업의 관리방식(Project Management System)으로서의 성격이 짙음. 이는 어
    떠한 발주방식에서도 CM이 적용될 수 있다는 가정을 가능케 함.

○ 본 연구에서는 관리방식으로서의 CM for Fee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하여 발주형태를 ''발주
    자의 직접시공(Owner-Builder 시공)'', ''분할시공(Multiple Primes 시공)'', ''일괄시공
    (General Contractor 시공)'', ''턴키사업(Design-Builder 시공)''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사례
    를 통하여 각각의 발주방식에 대한 CM의 역할을 살펴보았음.

○ 또한, 본 연구에서는 CM 기능을 생산기술과 관리기술로 나누고, 이러한 기술들에 대한 CM
    의 역할과 파급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음.


III. 건설사업관리(CM) 사례

○ 다양한 발주방식에 따른 CM 역할과 기능을 사례조사를 통하여 업무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국내 건설사업관리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1. 사례 1 : 고층 아파트 프로젝트(발주자 시공과 CM)

○ 사례 1은 발주자가 많은 시공경험을 갖춘 대형건설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자의적으로 CM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고층건물의 기술적 문제해결에 적용동기가
    있음.

○ CM의 역할로서는 관리지원 부분도 포함되어 있으나, 이보다는 전문가의 기술적 능력을 아
    웃소싱한 전형적인 기술중심의 컨설팅형 CM임.


2. 사례 2 : 물류창고 프로젝트(분할시공 발주와 CM)

○ 사례 2는 발주자가 다수 전문건설기업에게 시공을 직접 분할발주하고 CM이 발주자를 대신
    하여 공사를 관리하는 전형적인 CM-for-Fee 방식으로 선진국형 CM임.

○ 일괄수주에 의한 위험부담과 설계와 시공 인터페이스 역할을  제외하면, 시공단계의 CM 업
    무기능은 일괄시공사(GC)의 공사관리 업무수행과 유사한 점이 많음.


3. 사례 3 : 연구개발센터 프로젝트(일괄시공 발주와 CM)

○ 사례 3은 발주자 관리 능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의적으로 CM을 활용하였으며, 이는 발주
    자가 보다 상세한 부분까지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 CM조직을 활
    용함.

○ 또한, GC의 기술능력이 발주자의 관점에서 다소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CM조직을 활용하였
    으며, 설계단계의 관리도 주요 관점임.


4. 사례 4 : 축구장 프로젝트(턴키사업 발주와 CM)

○ 사례 4는 턴키/CM 발주방식을 선택에 있어 공기단축이 주요 고려사항이었으며, CM은 설
    계 및 시공 감리의 역할을 함께 수행함.

○ CM 계약시기는 턴키계약자 선정 또는 그 이후에 이루어짐으로서, CM이 초기계획에 공헌
    할 기회가 현저히 감소함.


5. 사례 비교 요약

○ CM의 업무를 생산기술중심과 관리기술중심으로 나누어 생각하였을 때, 사례 1은 생산기술,
    사례 2는 관리기술, 사례 3과 사례 4는 두 가지 성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즉, CM의 주요역할은 1) 사례 1은 시공기술이 가장 비중이 큰 동시에 심도도 높은 반면, 2)
    사례 2는 전반적인 공사관리(계약, 공정, 원가, 품질)의 비중과 심도가 높고, 3) 사례 3은 기
    획, 설계, 공정, 원가 등의 업무가 비교적 비중과 심도가 높으며, 4) 사례 4는 설계 및 시공의
    품질과 일반관리 위주로서 설계 및 시공 감리의 성격이 짙음.


IV. 산업구조에 대한 파급효과


1. 일반건설업의 변화

○ 일반건설기업의 변화로서 첫째는 외주공사 증가 추세에 따른 하도급 건설기업의 업